온돌環境(환경) - 한국인의 온열생리학적 특징에 대한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12:43
본문
Download : 온돌환경 - 한국인의 온열생리학적 특징에 대한 조사.hwp
넓적다리:발뒤꿈치를…(drop)
실내온열環境(환경)
설명
온돌環境(환경) - 한국인의 온열생리학적 특징에 대한 조사
,생활전문,레포트
한국의 독특한 난방방식인 온돌에서 노인군과 청년군의 피부온 반응을 비교하여 온돌에서 생활하는 한국인의 온열생리학적 특징을 규명하고 적절한 생활환경 및 착의량을 처방하기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實驗(실험)후 모든 센서를 제거하고 체중및 피하지방두께를 측정(測定) 하였다.
average(평균)피부온(MST)=(7A+10B+10C+15D+8E+7F+5G+18H+13I+7J)/100
A:이마온도 B:가슴온도 C:배온도 D:등온도 E:윗팔온도 F:아랫팔온도 G:손등온도 H:넓적다리온도 I:종아리온도 J:발등온도
직장온은 Thermistor sensor를 직장 12cm깊이에 삽입하여 측정(測定) 하였다.
상완삼두근:팔꿈치를 펴고, 이완된 상태에서 견봉과 주두돌기 사이의 중앙 지점을 수직으로 잡는다.
배:배꼽의 오른쪽 2cm지점을 수직으로 잡는다.
한국의 독특한 난방방식인 온돌에서 노인군과 청년군의 피부온 반응을 비교하여 온돌에서 생활하는 한국인의 온열생리학적 특징을 규명하고 적절한 생활環境(환경) 및 착의량을 처방하기위한 기초자료(資料)를 얻고자 하였다.
5.측정(測定) 항목
1)피부온과 직장온
Thermistor(日本(일본) Takara 사제)로 인체의 10부위(이마, 가슴, 배, 등, 윗팔, 아랫팔, 손등, 넓적다리, 종아리, 발등)의 피부온을 측정(測定) 하였다.
Download : 온돌환경 - 한국인의 온열생리학적 특징에 대한 조사.hwp( 77 )
순서






레포트/생활전문
Ⅰ. 서론
Ⅱ. 實驗(실험)방법
1. 實驗(실험)대상
2. 實驗(실험)의복
3. 實驗(실험)조건
4. 實驗(실험)순서
5. 측정(測定) 항목
1) 피부온과 직장온
2) 피하지방두께
3) 의복내 온습도
Ⅲ. 결과 및 고찰
1. 앉은 자세에서의 직장온 및 피부온
1) 직장온
2) average(평균)피부온
3) 부위별피부온
4) 의복내온도
5) 의복내습도
2. 누운자세에서의 직장온 및 피부온
1) 직장온
2) average(평균)피부온
3) 부위별피부온
4) 의복내온도
5) 의복내습도
3. 피하지방두께 및 체지방율
Ⅴ. 結論(결론)
4.實驗(실험) 순서
피험자는 식후 2시간이 경과한 후 實驗(실험)실에 도착하여 동일한 實驗(실험)복으로 갈아입고 인체천칭으로 몸무게를 측정(測定) 하고, 직장온 센서및 피부온센서를 삽입및 부착하였다.실내온열환경 , 온돌환경 - 한국인의 온열생리학적 특징에 대한 조사생활전문레포트 ,
다.
2)체중감소량
인체 천칭(독일 Satorius사제, 감도:10g)을 사용하여 實驗(실험) 전과 實驗(실험) 후 2회 측정(測定) 하여 1시간 동안의 체중 감소량을 구하였다. 30분간 안정후 인공기후실에 입실하여 온돌바닥에 앉거나 누운자세에서 각각 1시간동안 10분 간격으로 직장온, 피부온, 의복내 온습도, 주관적 감각을 측정(測定) 하였다. 이들의 average(평균)피부온은 10점법(전촌 1985)으로 다음식에 의해 체표면적의 안분비율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상장골:겨드랑이선과 장골능이 이어지는 곳을 대각으로 잡는다.
가슴:유두와 겨드랑이 주름사이의 중간지점을 대각으로 잡는다.
3)피하지방 두께
본 實驗(실험)에서는 피부 두겹법을 이용하여 남자의 피하지방 두께는 가슴, 배, 넓적다리 전면에서, 여자의 피하지방 두께는 상완삼두근, 상장골, 넓적다리 전면에서 피하지방측정(測定) 기로 각각 3번씩 측정(測定) 하여 average(평균)을 냈으며, 측정(測定) 부위의 해부학적 위치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