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ch.co.kr 2020년 1학기 구비문학의세계 기말시험 project물 > teach6 | teach.co.kr report

2020년 1학기 구비문학의세계 기말시험 project물 > teach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each6

2020년 1학기 구비문학의세계 기말시험 project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13:19

본문




Download : 20201기말_국문4_구비문학의세계_공통.zip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방송통신 > 기말시험
유형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한편의 이야기, 또는 각편군을 지칭하는 같은 내용의 이야기.” “유형”, 한국민속대백과사전, 2020.06.08. 접속, http://folkency.nfm.go.kr/kr/topic/detail/6071.
삽화란 “서사의 분절 단위로서 이야기 안에 들어가는 여러 작은 이야기, 또는 한 이야기 중에 같은 주제를 부각하기 위하여 나열하여 들어간 작은 이야기들.” “삽화”, 한국민속대백과사전, 2020.06.08. 접속, http://folkency.nfm.go.kr/kr/topic/detail/6054.

순서

1. 단위담에 관하여 나태내보시오
2020년 1학기 구비문학의세계 기말시험 project물


‘단위담’은 하나의 이야기를 分析(분석)하는 데에 있어서, 서사의 분리와 재결합을 통해 서사의 특징적 요소를 도출해내기에 기존 설화 分析(분석)의 용어인 ‘삽화’와 삽화를 담고 있는 큰 범주인 ‘유형’ 그리고 ‘화소’에 대해 알아보고 그와 비교할 당위성이 있다아


3. 재담에 관하여 說明(설명) 하시오.
3. 민요의 분류.hwp
- 목 차 -

1. 민요란 무엇인가.hwp

‘단위담’이란 서사의 주체인 주인공이 그를 추동하는 어떠한 목적이나 욕망을 충족하기 위해 행동하고, 그것을 달성하여 목적·욕망을 충족하는 데 성공하거나, 달성하지 못하여 목적·욕망을 충족하는 데 실패하는 일련의 행위를 담은 서사의 기본적 단위이다. 화소는 설화나 전설, 민담 등 특정한 이야기를 그 이야기로 만들어주는, 다시 말해 그 이야기의 point적인 요소인 모티프에 대응되는 요소이다.

2. 민요에 관하여 說明(설명) 하시오.
- 중략 -

1. 단위담에 관하여 說明(설명) 하시오.
구비문학의세계,방통대구비문학의세계,방송대구비문학의세계,구비문학의세계과제물,구비문학의세계과제,구비문학의세계기말시험
5. 재담 특징 및 의의.hwp

1. 단위담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2. 민요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3. 재담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 목 차 - 1. 단위담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2. 민요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3. 재담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민요란 무엇인가.hwp 2. 민요의 가창방식.hwp 3. 민요의 분류.hwp 4. 민요의 역사.hwp 5. 재담 특징 및 의의.hwp 6. 재담의 개관.hwp



6. 재담의 개관.hwp


Download : 20201기말_국문4_구비문학의세계_공통.zip( 55 )




2. 민요의 가창방식.hwp
설명

을 뜻한다. 삽화의 定義(정의)에 따르자면 삽화는 ‘단위담’과 상당히 유사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아 삽화는 ‘단위담’과 마찬가지로 서사의 분절 단위이며, 이야기 속에 들어간 여러 작은 이야기를 지칭하는 것이기 때문일것이다

를 뜻한다. 또한, ‘단위담’이란 이러한 서사들이 모여 만들어진 이야기를 분리하여 하나의 이야기 속, 그 이야기를 구성하고 있는 작은 서사들을 통해 이야기의 결합 원리를 파악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아 분절된 서사들을 통해 이야기의 단위와 구성원리 그리고 결합 원리를 파악하여 주제에 따른 이야기의 전개 양상 등을 도출해 낼 수 있는 것.
3. 재담에 관하여 說明(설명) 하시오.



1. 단위담에 관하여 說明(설명) 하시오.

28562_001.jpg 28562_002.jpg 28562_003.jpg 28562_004.jpg 28562_005.jpg

4. 민요의 歷史.hwp
화소란 “한 편의 완전한 이야기를 만들어 주며, 전승하는 힘을 가진 가장 짧은 내용의 이야기 알맹이” “화소”. 한국민속대백과사전, 2020.06.08. 접속, http://folkency.nfm.go.kr/kr/topic/detail/6095.
다.

2. 민요에 관하여 說明(설명) 하시오.







를 뜻하는 말이다.

삽화, 유형, 화소 이 세 가지 용어의 사전적 定義(정의)를 토대로 정리해보자면 삽화는 상당 부분 ‘단위담’과 유사한 면모를 지닌, 분절된 서사의 단위. 화소는 특정 이야기를 그 이야기로 기능하게 만드는 이야기의 point적인 모티프. 유형은 삽화와 화소를 포함한 한편의 이야기, 각색 여부와 관계없이 같은 화소를 포함하고 있는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아 그렇기에 유형은 삽화와 화소를 내포하는 설화 分析(분석) 용어로 기능한다. 다음은 전술한 세 용어를 통해 「은혜 갚은 두꺼비」를 예시로 分析(분석)한 내용이다.
전체 6,66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each.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